자민당 총재 선거 부모 트럼프 외교 통상, 대 중국에서 흔들림도

8월 22일 밤 총리 공관에서 열린 미·일 전화 회담. 후 아베 신조 총리(63)는 "그 역사적인 북-미 정상 회담(6월 12일)부터 2개월이 경과했다. 최신 정세 분석하고, 향후 북한에 대한 방침에 대해서 면밀한 미팅을 갔다"라고 간결하게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에 의하면 실제 회담은 "북한 정책에서 트럼프 백악관에서 『 한 제안 』이 있어, 수상의 의견을 듣는 것이 목적이었다"는 농밀한 거래가 있었다고 보여진다.
2017년 1월에 트럼프 씨가 대통령에 취임하자마자 북한 정세가 긴박. 총리는 자주 트럼프와 북한 정세에 대해서 의견을 나누고 왔다. 긴밀하게 공조하고 미 일 동맹이 굳건하임을 대내외에 과시하고 위기를 극복했다. 이러한 자세에 대해서는 "미국의 군사력에 의존하는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라고 옹호하는 목소리가 있고"대미 추종이 지났다"라는 비판도 나왔다.
다만 북-미 정상 회담 이후 한반도의 긴장이 풀어지면서 미 일 간의 정책상의 차이가 두드러지고 있다. 트럼프는 대중 무역 적자를 줄이려고 중국에서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올릴 중국도 미국에 보복. 아베 정권은 자유 무역 체제를 지키는 자세를 선명히 했고, 미국의 보호 주의적 정책과 선을 그었다. 카드 정부는 일본산 자동차의 고관세 적용도 검토했고 미 일 동맹이 통상 정책에서 흔들릴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
총리가 중시했다"가치관 외교"도 흔들리다. 총리는 미 일 동맹을 "법의 지배, 인권, 자유를 존중하는 가치관을 함께 하는 결합"(15년 4월 미 의회 연설)라고 외쳤다. 하지만 때에 법을 경시하는 듯한 발언을 하고 인종 차별 단체의 비판을 꺼리는 물의를 빚은 트럼프의 정권과 가치관을 공유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 부호가 붙어 있다.
트럼프는 중국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지만 총리는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10월에 방중 할 일중 관계를 정상 궤도에 올리는 것을 노리고 있다. 총리는 중국의 동·남 중국해의 해양 진출을 강력히 비판하고 왔다. 오키나와 현·센카쿠 열도 주변 해역의 중국 공사선의 영해 침범이 없어질 전망은 서지 않지만, 세계적 과제에 대해서 중국 정상과 협의를 하지 않는 상황이 외교상 장애, 대중 관계 개선에 움직였다.
미 일 관계도 중일 관계도 어려운 조타수를 요구되는 국면에 들어가지만 미국 중국과 어떻게 대응할지 청사진은 그리지 않아 암중모색의 외교가 열린다.
또 총리는 제2차 내각 이후 적극적 평화 주의에 입각한 "지구의를 부감하는 외교"를 내걸고 왔으나 자위대의 유엔 평화 유지 활동(PKO)의 부대 파견은 17년 철수한 남수단 파병에서 멈춘 채이다. 최대 중요 과제의 일본인 납치 문제도 해결의 목표는 되지 않으며 북방 영토 문제도 러시아 군이 북방 영토에서 활동을 활성화하고, 해결은 멀어지고 있다고 지적된다.
자민당 총재 선거에 출마하는 이시바 시게루 전 간사장(61)도 공약에서는 "국제 정세의 변화에 대응한 외교 안보 확립"을 내걸에 그친 새로운 외교 비전을 보이지 않는다.